데이터와 정보를 더 명확하게 구분하려면 정보 생산과 활용 과정에서 콘텍스트를 고려해야 한다. 콘텍스트가 없으면, 정보가 존재할 수 없다. 콘텍스트는 데이터의 환경과 관계될뿐 아니라 그것이 어디에서 왔는지, 왜 소통되어야 하는지, 어떻게 배열되는지, 이해하는 사람의 태도와 환경이 무엇인지를 의미한다. 정보는 사용의 주체나 상황에 따라 의미와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정보가 생산되고 사용되는 콘텍스트가 중요하다.
정보의 개념
정보의 정의는 다양하다. 넓은 의미로 생활 주체와 외부 객체간의 사정인데, 생물은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그
를 둘러싼 콘텍스트context"에 관한 사실이나 소식을 얻고 이를 해석 · 평가하여 대응하는 행동을 취한다. 정보는 데이터와 달리 그 자체만으로 의미가 있으며, 생산자와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전달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것이며 정보는 가공, 재생산, 파생, 확장된 것이다. 정보는 데이터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 조직화하고 변화시킨 것으로 형태와 형식을 지니고 있다. 데이터를 조직화하여 보여 주는 것은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바꾸는 것이다. 데이터의 조직화와 시각화는 청각적인 형태나 시각적인 형태 등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의 효율적 전달을 위해 데이터를 조직화하여 의미를부여하는 것은 감각적인 차원을 넘어 논리적 차원까지 작용하며 궁극적으로 정보를 더욱 가치 있게 한다.
정보의 특성
말이나 생각에 어떤 형상form을 부여한다는 어원에서 비롯된 서구 문화권의 information'은 본래 '지시하다', '가르치다'라는 뜻에서시작하여 알리다', '전하다'를 의미하는 오늘날의 쓰임에 이른 발신 지향적 성격을 지닌다. 이어령은 한국인이 사용하는 '정보'라는 용어와 서구에서 사용해 온 '인포메이션'의 뜻은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어에서 정보는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정낸을 알리는 것이다. 한국인의 정보 전달 양식에서는 정보의 정확한 전달성보다 정보 그 자체를 서로 공유하고 협력하는 참여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디지털 시대에 정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1. 정보는 그 자체로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자와 수신자가있어 상대적으로 존재한다.
2. 어떠한 정보라도 수신자는 일정한 목적을 갖고 받아들인다.
3. 정보의 가치는 수신자에 따라 결정된다. 똑같은 사실이 있을 때, 그것이 유용한 사람에게는 정보가 되지만 필요 없는 사람에게는 정보가 되지 않는다.
4. 정보는 그 자체로는 형태가 없을 뿐 아니라 표현되지도 못하여 반드시 매체를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
5. 정보는 복제와 유포에 의해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성립된다.
6. 정보는 전달이 용이해야 한다. 전달되지 않으면 그것은 정보가 아니다.
7. 정보를 장기 보존할 수 있으나 정보의 가치는 시간과 함께 변화될 수도 있다.
정보의 가치
정보가 생산되고 활용되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가치도 달라진다. 사회가 정보화된다는 것은 물질과 에너지라는 유형 자원에 대한 가치부여가 정보라는 무형 자원으로 전이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 지식 정보 사회로 바뀌어 가면서 기술과 정보 미디어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그에 따라 정보의 가치와 비중이 더욱 높아진다. 이러한 정보의 가치는 다시 개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개인적 가치
정보가 개인적으로 유용한 목적으로 사용될 때의 가치를 말한다. 개인적 가치의 정보는 개인의 사적인 정보를 비롯해 개인이 소유하는 자산의 성격을 갖는다. 개인적 정보는 외부의 남용에서 초래될 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으며 일반적인 정보나 재화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회적 가치
삶의 유지와 이익을 위하여 사회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가치를 말한다. 정보는 본질적으로 공공적 가치를 지닌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책, 박물관이나 도서관 등의 공공장소를 통하거나 구성원들의 개인적 요구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서도 공공의 목적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개발·배포되고 있다.
경제적 가치
경제 활동에서의 필요성 때문에 정보가 갖게 되는 재화적 가치를 의미한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경우 경제적 가치의 정보는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상업적 목적의 제품이나 서비스, 기업 자체의 정보, 금융, 증권 등의 정보가 경제적 가치를 지닌 정보이다.
'디자인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디자인 : 정보의 전달 (0) | 2022.02.24 |
---|---|
정보디자인 : 정보란 무엇인가?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