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만들기

정보디자인 : 정보의 전달

by 환상의앨리스 2022. 2. 24.

※ 예전에 오병근 교수님 수업에 배운 내용 (나만보고 삭제, 저작권 퍼가면 큰일나요, 디자인 개인 공부)

 

정보의 전달

알린다'to inform’라는 의미에서 비롯된 정보는 본질적으로 쌍방의 통신, 즉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전달된다. 따라서 정보의 전달은 커뮤니케이션이고 이것을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이론이다. 커뮤니케이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기체가 제스처, 언어 등의 표현 기호와 신호, 매체등을 통해 다른 유기체에 지식, 의견, 감정 등을 전달하여 서로 뜻을 공유하는행위로 정의된다. 송신자에 의한 가공, 조합, 편집을 통해 정보가 생산되고 생산된 정보가 채널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달되면 수신자는 송신자가 의도하는 정보의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정보의 전달 과정이 성립된다.

 

섀넌과 위버는 1949년에 발표한 통신의 수학적 모델에 관한 연구 논문 에서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정보를 수량적으로 고찰하여 정보량information content의 정의를 내리고 이를 통해 통신의 효율화를 비롯한 정보 전달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 체계에 관한 것이다. 섀넌이 기술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데 비해 위버는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고려했다. 즉, 정보원과 목적지의 관계, 두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를 '커뮤니케이션의 선형 모델'이라고도 한다. 정보 이론의 중요한 개념은 정보 전송의 효율과 신뢰성 등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며 정보 전달의 계통을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누었다.

 

정보디자인-전달

정보원 iformation source

메시지 발생, 송신자로서 정보를 생산하여 수신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정보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

 

송신기 transmiter

정보원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전송에 필요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부호기encoder라고도 함, 정보의 원천이 되는 데이터에 기초해서 정보를 나르는 미디어에 맞게 가공하여 정보로서 형식을 갖추게 하는 것

 

채널 channel

정보의 신호를 전송하는 매체, 정보를 전하는 사람도 될 수 있으며정보가 전달되는 모든 통로

 

수신기 receiver

수신 신호로부터 정보를 재생시키는 장치로 복호기decoder라고도함, 인터넷,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다양한 정보 미디어

 

정보 수신자 destination

최종적으로 메시지를 받는 수용자

 

섀넌과 위버는 이러한 모형을 통해 정보 이론이 다룰 세 가지 문제를 아래와 같이 지적했다.


1. 기술적 문제 technical problem 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가.
2. 의미론적 문제 semantic problem 의도한 의미를 얼마나 정확히 전달하는가.
3. 효과적 문제 effective problem 신호에 따라 신호를 받는 쪽에 어떻게 영향을 줄
것인가.

 

섀넌과 위버는 1의 문제를 우선 통신 과정의 기술적 이론을 체계화하여 설명했다. 2의 문제는 의도했던 정보의 목적에 대한 해석이 정보 환경 문화나 수용자 콘텍스트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3의 문제는 정보 전달의 목적에 맞게 수용자가 정보 해석과 더불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대한 것으로, 1의 문제보다 더 복잡한 요인들이 작용한다고 했다. 그들은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서 이 세 가지 레벨이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서로 연계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데이비드 벌로는 그림 1-9와 같이 송신자, 메시지, 채널, 수신자와같은 요소로 구성된 SMCR 모형을 정리했다. 정보의 처리와 전달은 여러 미디어를 통해 전달, 전송, 교환, 송수신, 신호 처리 등의 절차적 · 기술적 과정을거쳐 이루어지며, 수신자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형태의 감각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접한다는 것이다. 수신자가 정보에 대한태도나 지식수준, 사회 체계, 문화 등을 기반으로 정보를 해석, 분석, 합성, 축적, 표시 등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형성함으로써 정보 전달이 이루어진다.

 

섀넌과 위버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에서 지적한 세 가지 제에 대하여 데이비드 벌로의 SMCR 모형에서는 더욱 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 메시지는 수신자의 정보 메시지에 대한 태도, 지식수준, 문화를 기반으로 해석되어 이를 활용함으로써 전달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주목할 점은 섀넌과 위버의 모형에서 다루었던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수용자의 정보 해석이나 그 활용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연계된 해결책이 아니면 정보 전달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디자인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디자인 : 정보의 개념  (0) 2022.02.24
정보디자인 : 정보란 무엇인가?  (0) 2022.02.24

댓글